피아트 멀티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트 멀티플라는 1998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된 이탈리아의 소형 다목적 차량(MPV)이다. 1996년 컨셉트 카 공개 이후, 1998년 이탈리아에서 판매를 시작했으며, 6명이 탑승 가능한 3+3 시트 배열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주목받았다. 2000년에는 "탑 기어"의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으나, 이후 디자인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04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중국에서는 중타이 자동차가 라이선스 생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트의 차종 - 피아트 132
피아트 132는 1972년 피아트 125의 후속으로 출시된 후륜구동 4도어 세단으로, 1.6L/1.8L 트윈 오버헤드 캠 엔진을 탑재하고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이탈리아 외 여러 국가에서 생산, 특히 폴란드와 한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피아트의 차종 - 피아트 500
피아트 500은 1936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출시되어 1957년 누오바 500으로 재탄생했으며,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1975년 단종되었다가 2007년에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출시되었다.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볼보 XC60
볼보 XC60은 볼보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다양한 안전 기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친환경성을 특징으로 하며, 시티 세이프티 시스템과 다수의 안전 관련 수상으로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 크로스오버 (자동차) - 닛산 큐브
닛산 큐브는 닛산 자동차가 생산한 박스형 디자인의 소형차이며, 1998년 일본에서 처음 출시되어 3세대에 걸쳐 판매되었고, 넓은 실내 공간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개성을 드러냈다.
피아트 멀티플라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차량 개요 | |
이름 | 피아트 멀티플라 |
다른 이름 | 조티 멀티플란/M300 랑위에/M300EV/E300 (중국) |
제조사 | 피아트 |
조립 공장 | 이탈리아: 토리노 (미라피오리 공장); 밀라노 (알파 로메오 아레세 공장, CNG 버전) 중국: 창산 현, 취저우 시 (조티 오토) |
생산 기간 | 1998년–2010년 2008년–2013년 (중국) |
이전 모델 | 피아트 600 멀티플라 |
후속 모델 | 피아트 500L |
차종 | 소형 MPV |
플랫폼 | 피아트 C1 |
차체 형태 |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디자이너 | 로베르토 지올리토 및 피터 배럿 데이비스 (인테리어) (첸트로 스틸레 피아트) |
관련 차량 | 피아트 브라보/브라바 피아트 마레아 조티 멀티플라 (2세대) |
엔진 | |
종류 | 1.6 L 16V 가솔린 I4 1.6 L 16V LPG/가솔린 I4 1.6 L 16V CNG I4 1.6 L 16V CNG/가솔린 I4 1.9 L JTD 디젤 I4 1.9 L 멀티젯 디젤 I4 |
배터리 | 35.2 kWh 리튬 이온 |
전기 모드 주행 가능 거리 | 125 마일 (201 킬로미터) |
변속기 | |
종류 | 5단 수동 변속기 1단 고정 기어비 (EV) |
차체 크기 | |
축거 | 2666 mm |
전장 | 3994 mm 4080 mm (페이스리프트) |
전폭 | 1871 mm |
전고 | 1670 mm |
중량 | 1300–1490 kg |
이미지 | |
![]() |
2. 디자인
피아트 멀티플라의 첫 번째 컨셉트카는 1996년 10월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양산 모델은 1997년 가을 독일 국제 모터쇼에서 선보였다.[3] 멀티플라의 독특한 외관 및 실내 디자인은 1999년 뉴욕 현대 미술관(MOMA)의 "다른 길 - 차세대 자동차" 전시회에 전시될 정도로 주목받았다.[4]
초기 모델은 전면 창 하단과 보닛 후단 사이에 단차를 두고 하이빔 헤드램프를 배치하는 등 매우 독특한 외관을 가졌다. 실내는 전륜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2열에 걸쳐 총 6개의 독립된 좌석을 3+3 형태로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좌석은 개별적으로 접거나 탈거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특히 유럽에서는 카 페리 요금이 전장 4m를 기준으로 크게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초기 모델의 전장을 3995mm로 맞춘 것을 주요 판매 포인트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디자인은 극단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국 탑 기어 프로그램에서는 2000년 '올해의 차' 및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차'로 선정했지만,[5] 동시에 '가장 못생긴 차'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탑 기어 매거진''에서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년 연속 '올해의 패밀리 카'로 선정되었고, 2000년 7월 ''클락슨의 자동차 시대'' 마지막 회에서도 '올해의 패밀리 카'로 뽑혔다.
그러나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비판과 판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피아트는 2004년 3월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했다. 이를 통해 외관은 이전 푸토와 유사하게 보다 평범하고 절제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6][7] 하지만 이 변화는 오히려 개성을 잃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영국 ''더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변경된 디자인에 대해 "새로운 멀티플라가 더 이상 정신병적인 만화 오리와 닮지 않아 디자이너들이 매우 슬퍼했다"고 비꼬며, "승객들은 영리한 실내의 적응성을 좋아했지만, 이웃, 친구, 급우들의 비웃음과 조롱에는 덜 열광했다"고 보도했다.[8] 이 매체는 2008년 8월 '가장 못생긴 차 100대' 목록에서 멀티플라를 2위로 선정하기도 했다.[9] 또한, 2014년 1월 자동차 웹사이트 ''Car Throttle'' 독자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못생긴 차'로 뽑혔으며,[10] 2018년 2월 ''더 선데이 타임즈'' 역시 '가장 못생긴 차' 목록에 포함시키며 "멀티플라의 비극은 엘리펀트 맨 같은 외관이 진정으로 영리하고 넓은 실내를 감싸고 있었고, 운전하기도 나쁘지 않았다는 것이다. 차라리 걷는 것이 낫지, 이 차를 타는 모습은 보이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혹평했다.[11]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전장이 4m를 넘어서게 되어 기존의 카 페리 요금 관련 이점은 사라졌다.
한편, 피아트 명예 회장이었던 잔니 아넬리의 요청으로 멀티플라를 기반으로 한 스파이더 모델이 원 오프(One-off) 방식으로 제작되기도 했다. 또한, 2020년 1월 31일 공개된 일본 영화 『AI 붕괴』(주연: 오사와 타카오)에서는 1세대 전기형 모델이 스바루 임프레자 (2세대)와 함께 파괴되는 장면으로 등장한다.
2. 1. 1세대 (1998-2004)

1세대 멀티플라는 1996년 10월 파리 모터쇼에서 컨셉트카 형태로 처음 공개되었고, 최종 양산 모델은 1997년 가을 독일 국제 모터쇼에서 선보였다.[3] 이름은 과거 판매되었던 600 멀티플라에서 따왔으며, 피아트 브라바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개발 목표는 6명이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는 차량이었기에, 전장을 제한하는 대신 전폭(1870mm)과 전고(1670mm)를 넓게 설계했다. 이로 인해 1열과 2열에 각각 3개의 독립 시트를 배치한 3+3 레이아웃이 특징이다. 운전석을 제외한 모든 시트는 개별적으로 접거나 탈거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높았으며, 뒷좌석을 모두 제거하면 평평한 바닥의 트렁크 공간은 기본 430L에서 최대 1900L까지 확장되었다.
외관 디자인은 상당히 독특했는데, 특히 전면부에서 일반적인 위치의 로우빔 헤드램프 외에 보닛과 앞 유리창 사이 단차 부분에 하이빔 헤드램프를 배치한 점이 눈에 띈다. 구동 방식은 전륜 구동이며, 휠베이스는 2665mm 차량 중량은 1,300~1490kg이었다. 유럽 시장에서는 카 페리 요금이 전장 4m 를 기준으로 크게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초기 모델의 전장을 3995mm(일본 사양 4005mm)로 맞춘 것을 주요 판매 포인트로 내세웠다.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1.6L 가솔린 엔진
- 1.9L JTD 또는 멀티젯 디젤 엔진
- 1.6L LPG 엔진
- 1.6L CNG 엔진
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만 제공되었다. 영국 사양 기준으로는 기본형인 SX 트림과 에어컨, 전동 선루프 2개, 알로이 휠, 뒷좌석 파워 윈도우, 밝은 색상의 인테리어 등이 추가된 ELX 트림 두 가지로 운영되었다.
생산은 주로 이탈리아 토리노의 미라피오리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며, CNG 버전은 밀라노의 아레제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판매는 1998년 11월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이듬해부터 다른 시장으로 확대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비교적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다른 국가에서는 독특한 디자인 때문에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멀티플라의 디자인은 파격적인 만큼 평가가 엇갈렸다. 1999년 뉴욕 현대 미술관(MoMA)의 "다른 길 - 차세대 자동차(Different Roads - Automobiles for the Next Century)" 전시회에 외관 및 실내 디자인이 전시되기도 했다.[4] 반면, 영국 BBC의 자동차 프로그램 탑 기어는 1999년에 멀티플라를 "가장 못생긴 차"로 선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같은 프로그램에서 2000년에는 "올해의 차"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차"로 선정하기도 했으며,[5] 자매지인 ''탑 기어 매거진''에서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년 연속 "올해의 패밀리 카"로 선정되었다. 2000년 7월, ''클락슨의 자동차 시대'' 마지막 회에서도 "올해의 패밀리 카"로 뽑혔다.
한편, 피아트의 명예 회장이었던 잔니 아넬리의 개인적인 요청으로 1세대 멀티플라를 기반으로 한 원오프(One-off) 스파이더 모델이 제작되기도 했다.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비판과 판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피아트는 2004년 3월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하여 외관을 비교적 평범하게 다듬었다.[6][7] 이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는 전장이 4m 를 넘어서게 되어 기존의 카 페리 요금 관련 이점은 사라졌다.
2. 2. 2세대 (2004-2010)
기존 모델의 독특하고 논란이 많았던 디자인은 판매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고, 결국 2004년 3월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6][7]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이전의 독특한 디자인 요소들이 사라지고, 당시 푸토와 유사한, 보다 평범하고 차분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더 많은 구매자를 유치하려는 의도였으나, 일부 비평가들에게는 개성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았다.[6][7] 트림명 역시 다이나믹(Dynamic)과 다이나믹 패밀리(Dynamic Family)로 변경되었다.
변경된 디자인에 대해 영국 언론 ''더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새로운 멀티플라가 더 이상 정신병적인 만화 오리와 닮지 않아 디자이너들이 매우 슬퍼했다"고 비꼬면서, "승객들은 영리한 실내의 적응성을 좋아했지만, 이웃, 친구, 급우들의 비웃음과 조롱에는 덜 열광했다"고 보도했다.[8] 2008년 8월, 같은 매체는 '가장 못생긴 차 100대' 목록에서 멀티플라를 2위로 선정하며 "단순히 상자에 바퀴를 추가했을 뿐"이라고 평가했다.[9] 또한 2014년 1월에는 자동차 웹사이트 ''Car Throttle'' 독자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못생긴 차'로 뽑혔고,[10] 2018년 2월 ''더 선데이 타임즈'' 역시 '가장 못생긴 차' 목록에 포함시키며 "멀티플라의 비극은 엘리펀트 맨 같은 외관이 진정으로 영리하고 넓은 실내를 감싸고 있었고, 운전하기도 나쁘지 않았다는 것이다. 차라리 걷는 것이 낫지, 이 차를 타는 모습은 보이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1]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전장이 4m를 넘게 되어(4,080mm 또는 4,095mm), 유럽에서 카 페리 요금 할인의 기준이 되는 전장 4m 이하라는 기존의 판매 포인트 중 하나를 잃었다.
2010년에 단종되었으며, 후속 차종은 2012년에 출시된 500L의 롱바디 사양인 500L 리빙으로 여겨진다.
한편, 중국에서는 2008년 12월부터 2010년 사이에 중타이 자동차가 페이스리프트된 멀티플라를 창산에서 조립 생산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중국에서도 '멀티플라'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2010년 10월부터는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 자체 생산 부품 비중을 늘리고 이름도 "Multiplan Langyue"(朗悅|랑위에중국어)로 변경하여 2013년까지 생산했다.
3. 실내 공간 및 실용성
피아트 멀티플라는 6명을 편안하게 태울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전장을 제한하는 대신 전폭과 전고를 넓게 설계했다. 그 결과 1열과 2열에 각각 3개의 독립된 시트를 배치한 3+3 레이아웃, 총 6인승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전륜 구동 방식이 적용되었다.
모든 시트는 독립적이며, 운전석을 제외한 시트는 개별적으로 접거나 재배치할 수 있었다. 특히 뒷좌석 시트는 완전히 탈거하여 적재 공간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했다. 기본 트렁크 공간은 430L이며, 뒷좌석을 모두 제거하면 평평한 바닥의 적재 공간이 1900L까지 확장되었다.
출시 당시 언론인들로부터 실용성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초기 모델은 유럽의 카 페리 요금이 전장 4m를 기준으로 크게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전장을 3995mm로 설계하여 이를 주요 판매 포인트 중 하나로 내세웠다. 하지만 2004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전장이 4m를 넘게 되어 이 이점은 사라졌다.
4. 엔진 및 변속기
엔진은 1.6L 가솔린 외에도 1.9 JTD 또는 멀티젯 디젤, 1.6 LPG와 CNG 엔진도 선택할 수 있었다. 변속기는 수동 5단이 제공되었다. 특정 시장에서는 메탄 또는 일반 휘발유로 구동할 수 있는 1.6 L 엔진이 제공되었다.[12]
모델 | 엔진 | 배기량 | 출력 | 토크 | 생산 연도 |
---|---|---|---|---|---|
100 16V | I4 | 1581 cc | 103 PS (5750 rpm) | 144 Nm (4000 rpm) | 1998–2000 |
100 16V | I4 | 1596 cc | 103 PS (5750 rpm) | 145 Nm (4000 rpm) | 2000–2010 |
105 JTD | I4 | 1910 cc | 105 PS (4000 rpm) | 200 Nm (1500 rpm) | 1998–2000 |
110 JTD | I4 | 1910 cc | 110 PS (4000 rpm) | 200 Nm (1500 rpm) | 2000–2001 |
115 JTD | I4 | 1910 cc | 115 PS (4000 rpm) | 203 Nm (1500 rpm) | 2001–2006 |
1.9 Multijet | I4 | 1910 cc | 120 PS (4000 rpm) | 206 Nm (1450 rpm) | 2006–2010 |
1.6 (Bi-Power) CNG | I4 | 1581 cc | 92 PS (5750 rpm) | 130 Nm (4000 rpm) | n/a |
5. 평가
피아트 멀티플라는 출시 초기부터 독특한 디자인으로 인해 극명하게 엇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1999년 뉴욕 현대 미술관(MOMA)에서 열린 "다른 길 - 차세대 자동차" 전시회에 외관 및 실내 디자인이 전시되기도 했다.[4]
영국의 자동차 프로그램 탑 기어는 2000년에 멀티플라를 '올해의 차'로 선정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같은 시상식에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차"로 뽑기도 했다.[5] 또한,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년 연속 ''탑 기어 매거진''의 '올해의 패밀리 카'로 선정되었고, 2000년 7월에는 ''클락슨의 자동차 시대'' 마지막 회에서 '올해의 패밀리 카'로 선정되는 등 실용성 측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디자인에 대한 혹평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탑 기어는 1999년에 이미 멀티플라를 "가장 못생긴 차"로 꼽았다.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2008년 8월 '가장 못생긴 차 100대' 목록에서 멀티플라를 폰티악 아즈텍에 이어 2위로 선정하며,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평범한 디자인으로 조롱받던 피아트는 과감하게 틀에서 벗어나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경우, 단순히 상자에 바퀴를 추가했을 뿐이다."라고 평가했다.[9][15] 또한, 2014년 1월에는 자동차 웹사이트 ''Car Throttle'' 독자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못생긴 차로 뽑혔고,[10] 2018년 2월 더 선데이 타임즈 역시 가장 못생긴 차 목록에 멀티플라를 포함시키며 "멀티플라의 비극은 엘리펀트 맨과 같은 외관이 진정으로 영리하고 넓은 실내를 감싸고 있었고, 운전하기도 나쁘지 않았다는 것이다. 차라리 걷는 것이 낫지, 이 차를 타는 모습은 보이고 싶지 않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1] 영국의 다른 칼럼니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흉한 차", "이 차는 실제로 타봐야 한다. 왜냐하면 차 안에 있는 한 흉한 외관을 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14]
이러한 혹평 속에서 판매량은 이탈리아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부진했다. 결국 2004년 3월에는 판매 증진을 목표로 대대적인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논란이 많았던 전면부 디자인을 비교적 평범하게 수정했다. 그러나 이 변화 역시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6][7] 더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변경된 스타일에 대해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멀티플라가 더 이상 정신병적인 만화 오리와 닮지 않아 매우 슬퍼했다"면서도, "승객들은 영리한 실내의 적응성을 좋아했지만, 이웃, 친구, 급우들의 비웃음과 조롱에 덜 열광했다. 아이들은 잔인할 수 있다."라고 보도하며 여전한 디자인 논란을 지적했다.[8]
디자인 외에도 기술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1.6L 가솔린 엔진 모델의 경우, 차체 무게에 비해 출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변속기 옵션이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전장은 4m로 비교적 짧지만 전폭이 1870mm에 달해 좁은 길 주행이나 주차 시 불편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유럽 시장에는 1.9L 디젤 엔진 모델도 있었으나, 일부 국가(예: 일본)에는 1.6L 가솔린 모델만 판매되었다.
6. 중국 생산 모델
중국의 중타이 자동차(Zotye Auto)는 2008년 12월부터 2010년 9월까지 피아트 멀티플라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멀티플라 2를 창산 공장에서 반제품 조립(KD) 방식으로 생산했다. 이때 중국에서는 '''멀티플랜'''(Multipla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0년 10월부터 중타이 자동차는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중국 현지 부품 사용 비중을 높였고, 모델 이름도 '''랑위에'''(Langyue)로 변경했다.[13] 랑위에 모델은 내연기관 버전인 M300과 전기자동차 버전인 M300 EV 두 가지로 생산되었다.
7. 기타
- 판매 초창기에는 로우 빔용 헤드램프는 일반적인 배치였지만, 전면 창 하단과 보닛 후단에 단차를 두어 하이 빔용 헤드램프가 A필러의 근본 부근에 배치되는 등 독특한 외관 디자인을 가졌다.
- 구동 형식은 전륜 구동이며, 2열 3인승 시트가 배치되어 6인승으로 제작되었다. 모든 시트는 독립되어 있으며, 운전석을 제외하고는 개별적으로 접을 수 있고, 후석은 모두 분리 가능하여 짐칸을 더 넓게 사용할 수도 있다. 유럽에서는 카 페리 요금이 전장 4m를 경계로 크게 상승하기 때문에, 피아트는 전장을 3995mm로 억제한 점을 주요 판매 포인트 중 하나로 내세웠다.
-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스파이더가 피아트 명예 회장이었던 잔니 아넬리의 요청에 따라 원 오프 방식으로 생산되기도 했다.
- 2004년에는 마이너 체인지가 실시되어, 전년에 페이스 리프트된 푸토와 비슷한 외관으로 변경되었다. 이 변경으로 전장이 4m를 넘게 되어, 앞서 언급한 판매상의 이점을 잃게 되었다.
- 2020년 1월 31일 공개된 일본 영화 『AI 붕괴』(주연: 오사와 타카오)에서는 전기형 모델이 스바루 임프레자와 함께 파괴되는 장면으로 등장한다.
- 차명은 ‘다양한’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multipla|멀티플라ita에서 유래했다.
- 피아트에서는 원래 1950년대에 피아트 600의 파생 차종으로 "600 멀티플라"라는 이름을 사용한 적이 있어, 반세기 가까이 지나 차명이 부활한 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1998 Fiat Multipla 100 16v SX
http://www.carfolio.[...]
2007-08-26
[2]
웹사이트
M Series
http://www.zotyeglob[...]
2012-03-13
[3]
웹사이트
6 seats for 6 characters on board: Heritage presents the FIAT Multipla 6x6
https://www.media.st[...]
2024-08-10
[4]
웹사이트
Fiat Multipla
http://www.moma.org/[...]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5]
웹사이트
Gallery: every single Top Gear Car of the Year winner of the last 30 years
https://www.topgear.[...]
2023-10-25
[6]
웹사이트
Fiat Multipla (00-10) Car Review
http://www.parkers.c[...]
Parkers
2011-09-29
[7]
웹사이트
Fiat Multipla MPV (2000 - 2011) expert review
http://www.autotrade[...]
2008-03-24
[8]
웹사이트
Stars of the show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4-03-12
[9]
웹사이트
The 100 ugliest cars: 20-1
https://www.telegrap[...]
2008-08-28
[10]
웹사이트
Ugliest Car Multipla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11]
웹사이트
Are these the 10 ugliest cars ever made?
https://www.driving.[...]
2018-02-27
[12]
웹사이트
2006 Fiat Multipla
http://www.topspeed.[...]
2006-03-28
[13]
뉴스
Zotye Releases Chinese-made Multipla–Longyue
http://chinaautoweb.[...]
ChinaAutoWeb.com
[14]
뉴스
世界一醜いクルマはフィアット『ムルティプラ』…英コラムニストが認定
http://response.jp/a[...]
Response
2003-07-10
[15]
뉴스
The 100 ugliest cars
http://www.telegraph[...]
Telegraph
2008-08-25
[16]
문서
https://www.moma.org[...]
[17]
문서
https://www.hager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